" a fatherless to the Father "

아빠가 없는 자에게 하나님을!

공지사항

YES Daddy는 아동복지시설로서 진정한 영적 부모를 찾아주게하는 비영리 기관입니다.

게시글 검색
[이슈플러스] "대학은 꿈도 못꿔요"…사회 내몰리는 보육원 퇴소청소년
yesdaddy 218.157.137.43
2017-10-19 11:26:42
3년 전 아동복지센터에서 퇴소한 A(22)씨는 “먹고살려면 기술이 있어야 한다”는 주변의 조언을 받아들여 미용사가 되기로 마음먹고 지난해 전문대에 입학했다. 퇴소 당시 A씨는 수중에 자립정착금 500만원과 민간후원금 등을 합쳐 1000만원 정도를 쥐고 있었다.

입학과 동시에 PC방·편의점 등 곳곳에서 아르바이트를 했지만 보증금 300만원(월세 40만원)짜리 방을 구하고 등록금·학비 등으로 은행 잔액은 순식간에 줄어들었다. 결국 그는 올해 초 대학에 휴학계를 제출한 뒤 휴대전화 판매사원 일과 패스트푸드점 아르바이트를 병행하며 복학 시기를 조율 중이다.

보호시설 등에서 나온 ‘퇴소청소년’(보호종결아동)의 절반 이상은 대학 진학을 포기하고 곧바로 취업전선에 뛰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보건복지부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승희 의원(자유한국당)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만 18세가 지난 퇴소청소년 중 대학에 진학한 경우는 27.6%에 그쳤다. 반면 곧바로 취업전선에 뛰어든 경우는 50.3%, 군 입대 및 진학·취업준비 등 기타는 22.1%를 각각 차지했다. 이 같은 낮은 대학 진학률은 전체 평균 대학 진학률(69.8%)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학업 등 직업 숙련도 등에서 뒤처지는 만큼 퇴소청소년들이 질 낮은 일자리를 전전하며 빈곤 청소년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커지는 셈이다. 실제로 이들의 취업 유형을 보면 서비스 종사자(25%)와 기계 조작·조립(14.9%), 단순노무(11%) 등 임시·비정규직의 비중이 컸다.
 
아동자립지원단이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퇴소청소년의 절반 이상이 보호종결 뒤 정부의 추가 지원 기간으로 3∼7년을 꼽았다.

‘보호종결 이후 적절한 자립지원 기간은 얼마인가’라는 물음에 대해선 ‘5년 이상∼7년 미만’이라는 답변이 28.3%로 가장 많았고 3년 이상∼5년 미만 25.3%, 1년 이상∼3년 미만 14.9%, 취업 전까지 11.8% 등이었다.

이들은 지원이 절실한 분야로 생활비 지원(41.1%)과 주거 지원(36.3%)을 대부분 택했다. 반면 실제 생활 및 미래를 위해 정작 필요한 건강 지원(4.2%)이나 학업 지원(4.6%), 상담 지원(2.6%) 등의 요구는 미미한 수준이었다.

퇴소청소년들이 어려움을 겪는 분야 또한 △경제적 어려움(31.1%) △주거문제(24.2%) △심리적 부담(9.1%) △돈 관리 지식 부족(9.0%) △취업 관련 정보·기술·자격 부족 등으로 크게 다르지 않았다.

아동자립지원단 관계자는 “직업이 없는 재학생이나 취업준비생의 경우에는 생활비 지원 요구가 더 높았고, 취업 중인 경우는 주거비 지원 요구가 더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고등교육 진학이 보호종결아동들에게 기회의 사다리임에도 진학률이 저조하다”며 “이들에게 진학상담 등 진학률을 높일 근본 대책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김준영 기자 papenique@segye.com

댓글[0]

열기 닫기

공지&소식

YESDaddy 예스대디

상단으로 바로가기